1. DTO와 DTO로 만드는것의 차이
DTO : 데이터 전송 객체로 프로세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객체
요구사항에 따라서 필요한 데이터만 뽑아내는게 DTO 전체 객체를 보일때는 class를 쓴다.
2. setOption() 얘는 만든적도 없는데 어디서 온걸까?
@Setter 어노테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
3. 영속성이란 무엇이고 왜 쓰는건가?
영속성 : 데이터를 생성한 프로그램이 종료되어도 사라지지 않는 데이터의 특성
persistence context 영속성 컨텍스트 :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
영속성 컨텍스트 장점
1. 1차 캐시 : 굳이 db까직 가서 검색을 안해도된다.
2. 쓰기 지연 : 커밋하는 순간에 한번에 sql을 보낸다.
3. 변경 감지 : 수정시 따로 업데이트나 저장을 안한다.
4. 지연로딩 수행
'프로그래밍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테캠 백엔드 2단계 리뷰 (0) | 2023.08.04 |
---|---|
백엔드 오답노트 1 JWT, RestAPI (0) | 2023.07.25 |
카테캠 백엔드 진행상황(23.07.06) (0) | 2023.07.06 |
현재까지 진행사항 (2023.05.25) (0) | 2023.05.25 |
알고리즘 풀이정리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