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지통/미니프로젝트 썸네일형 리스트형 새로운 플젝 아이디어 2 전에 기획해놓은 플젝 시작도 안했는데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문득 메모만 해놔야겠다. 알고리즘 문제 사이트 https://www.acmicpc.net/ https://codeforces.com/ https://atcoder.jp/ 대회들의 시간을 https://ctftime.org/ 처럼 정리해 주는 사이트가 있었으면 좋겠다. 대회들이 특정 사유에 의해서 시간이 바뀌거나 하는것을 사이트 일일이 들어가면서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문제가 어떻게 모으는가이다. 1. 특정시간 기준으로 사이트에 데이터를가져옴 2. 유저들의 데이트를 받고 검증함 3. 그냥 유저들이 수정하게만듬 일단 일시중지 다음 팀플젝전에 개인플젝을 해보고 하려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부족할것같아서 일시정지 시켜놓고 팀플젝 마무리하고 숙련도를 쌓아서 개인플젝을 훨 수월하게 하려고한다. 러스트랑 알고리즘이 지금은 더 재밌기도 하다.. 기획 3 기획상세, 화면명세서 및 ERD 비슷한 웹 프로젝트중 현재 상용화되어있는 것들 중에서 어떤게 있는지 알아보자. 우선 대표적으로 Steam 게임 유통 사이트로 프로필에서 본인이 최근플레이한 게임 및 업적 배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외에 본인 게임 현황을 확인할수 있는 사이트로는 리그오브레전드의 경우에 https://www.op.gg/ https://your.gg/ko/kr/home https://fow.kr/ 메이플스토리의 경우 https://maple.gg/ 그리고 듀오 등을 하고싶어 하는 사람들을 위해 https://shook.gg/party?game=lol 이러한 사이트들 역시 존재한다. 이들을 링크를 백준에서 다른 사이트 링크를 걸듯이 이런식으로 걸면 괜찮지 않을까? 싶다. 화면은 아직 그려보지는 않았지만 - 홈화면 - 게임별.. 기획 2 무엇을 만들어볼까? 솔브닥을 보면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것 처럼 게임 티어 올리듯 즐길 수 있게 해놓은 시스템이 정말 좋았던것 같다. 그리고 비슷한 프로그래밍 대회 사이트인 코드포스나 앳코더등을 링크하여 이사람은 이렇게 잘하는 사람이구나 이러한 문제들을 풀었구나를 보여줄 수 있었던것같다. 이를 진짜 게임을 대상으로 할 수 있을까? 유튜브만 봐도 세상 정말 이상한 게이머들이 많다. 이러한 사람들을 profile화 해서 보여주는 식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뭐 사실 미니 프로젝트라서 깊이있게 생각해보진 않아서 배운것을 활용한다. 라는 느낌으로 진행해보려고한다. 결론 : 게임스펙 정리 사이트 다음 내용 ERD그려보기 기획 1 스프링 무슨 버전을 써야할까? 카테캠 2단계를 수료하고 https://b1ackhand.tistory.com/218 큰 틀을 알았으니 하나하나 다시 제대로 알아보자 라는 마음으로 미니 프로젝트를 기획하려 한다. 하지만 벌써 시작하기 앞서서 스프링은 어떤 버전을 어떻게 골라야할까? 라는 의문이 시작되었고 가까운 친구한테 물어보게 되었다. "종합적으로 라이브러리가 버전에 따라 다른 상태를보고 더 필요한걸 골라 호환되는 버전으로 하라." https://spring.io/projects/spring-boot#learn Spring Boot spring.io 하지만 난그런거 잘 모르기 때문에 카테캠에서 사용한 버전을 사용해 보도록 하자. 이대로 해보도록 해야겠다. 이전 1 다음